타자의 기억을 마주하는 일은 언제나 긴장을 동반하며,
그것은 정제된 서사라기보다 파편적인 ‘기억의 단위체’와의 조우다.

나는 나를 통과한 그 단위체를 내어놓고,
편집과 해석은 언제나 그것을 마주한 수용자의 감각과 기준에 맡긴다.

나의 작업은 언제나 하나의 질문에서 출발한다.
기억은 어떻게 구성되고, 어떻게 전달될 수 있는가.

기억은 완성된 이야기나 감정으로 남지 않는다.
그것은 파편화된 감각, 이미지, 침묵, 말해지지 않은 리듬으로 흔적을 남긴다.

나는 이 단위들을 수집하고,
그것이 다시 조립될 수 있도록 미디어적 구조를 설계한다.

나는 기억을 완성된 서사로 재구성하기보다,
감각적 파편들이 머무를 수 있는 구조를 설계한다.
수용자는 여백과 충돌의 리듬 속에서 스스로 조립하고 감응한다.

나의 작업은 리서치 기반의 미디어 작업이다.
자료를 수집하고, 장소를 방문하며, 구술을 기록하고,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과정을 통해
기억이 지닌 사회적, 역사적 맥락을 감각적으로 재배열한다.

이러한 리서치 과정은 단순한 정보 전달이나 사실 재현을 위한 것이 아니라,
감각과 해석의 구조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기능한다.
나는 기억의 단위들이 어떻게 전이되고, 망각과 단절을 넘어
어떤 방식으로 연결 가능해지는지를 실험한다.

나는 타자의 기억을 대신 말하지 않으며,
그 감각이 타인의 리듬과 공명할 수 있도록 구조화한다.

나의 작업은 그 가능성을 실험하는 구조이며,
기억을 대상화하지 않고 윤리적 거리 안에서 작동하는 미디어적 제안이고,
기억이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을 구성해 나가는 과정이다.


Confronting the memory of the Other always entails a certain tension.
It is not an encounter with a refined narrative,
but with fragmented “units of memory.”

I present these units as they have passed through me,
leaving their editing and interpretation
entirely to the sensibility and framework of the viewer.

My work always begins with a single question:
How is memory constructed, and how can it be transmitted?

Memory does not remain as a complete narrative or emotion.
It leaves behind traces—fragmented sensations, images, silences, and unspoken rhythms.

Rather than reconstruct memory as a coherent story,
I design structures in which these sensory fragments can dwell.
The viewer reassembles them through their own rhythm,
within a space defined by gaps and conflicting temporalities.

My practice is rooted in research-based media work.
Through processes of collecting materials, visiting sites, conducting oral histories, and building archives,
I sensorially recompose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s carried by memory.

This research is not intended to merely transmit factual information,
but to construct structures of perception and interpretation.
I explore how units of memory shift, transcend forgetting and rupture,
and become newly connectable across contexts.

I do not speak on behalf of the Other’s memory.
Rather, I design a circulatory structure in which unspoken fragments remain accessible—
opening the possibility for those sensations to resonate within someone else’s rhythm, somewhere.

My work is a structure for that possibility:
a media-based proposal that operates within an ethical distance,
and a process of constructing spaces where memory can reside.



유미루
Miru Yoo
2025